[기초-종합] 수 나열하기3

 

어떤 규칙에 따라 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수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 -1 3 -5 11 -21 43 ... 은
1부터 시작해 이전에 만든 수에 -2를 곱한 다음 1을 더해 다음 수를 만든 수열이다.

이런 이상한 수열을 알게 된 영일이는 또 궁금해졌다.

"그럼.... 13번째 나오는 수는 뭘까?"

영일이는 물론 수학을 아주 잘하지만 이런 문제는 본 적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프로그램을 만들어 더 큰 수도 자동으로 계산하고 싶어졌다.


시작 값(a), 곱할 값(m), 더할 값(d), 몇 번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n)가 입력될 때,
n번째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력

시작 값(a), 곱할 값(m), 더할 값(d), 몇 번째 인지를 나타내는 정수(n)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a, m, d는 -50 ~ +50, n은 10이하의 자연수)

출력

n번째 수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 -2 1 8

 

출력 예시

-85

 

풀이

 

a, m, d, n = 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n-1):
    a = (a * m) + d
    
print(a)

 

설명

 

구하고자 하는 항의 -1번 만큼 연산을 해줘야 구하고자 하는 항을 구할 수 있다.

-> 그래서 for문의 범위를 n-1로 해주었다.

-> 연산을 마친 a 값을 가지고 계속해서 연산하여 다음 항을 구해야 하기 때문에 결과값을 a에 또 넣어주었다.

 

'Algorithms > Code Up 100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de Up 기초 100제 - 1093  (0) 2020.01.14
Code Up 기초 100제 - 1092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90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89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88  (0) 2020.01.13

[기초-종합] 수 나열하기2

 

어떤 규칙에 따라 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수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2 6 18 54 162 486 ... 은
2부터 시작해 이전에 만든 수에 3을 곱해 다음 수를 만든 수열이다.

이러한 것을 수학에서는 앞뒤 수들의 비율이 같다고 하여
등비(비율이 같다의 한문 말) 수열이라고 한다.


등비 수열을 알게된 영일이는 갑자기 궁금해졌다.

"그럼.... 13번째 나오는 수는 뭘까?"

영일이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더 큰 수도 자동으로 계산하고 싶어졌다.


시작 값(a), 등비(r), 몇 번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n)가 입력될 때
n번째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력

시작 값(a), 등비의 값(r), 몇 번째 인지를 나타내는 정수(n)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모두 0 ~ 10)

출력

n번째 수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2 3 7

 

출력 예시

1458

 

풀이

 

a, r, n = map(int, input().split())

sequence = a * (r ** (n - 1))

print(sequence)

 

설명

 

등비수열을 코드로 구현해봤다.

'Algorithms > Code Up 100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de Up 기초 100제 - 1092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91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89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88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87  (0) 2020.01.13

[기초-종합] 수 나열하기1

 

어떤 규칙에 따라 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수열(series)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 4 7 10 13 16 19 22 25 ... 은
1부터 시작해 이전에 만든 수에 3을 더해 다음 수를 만든 수열이다.
이러한 것을 수학에서는 앞뒤 수들의 차이가 같다고 하여

등차(차이가 같다의 한문 말) 수열이라고 한다.
수열을 알게 된 영일이는 갑자기 궁금해졌다.

"그럼.... 123번째 나오는 수는 뭘까?"

영일이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더 큰 수도 자동으로 계산하고 싶어졌다.

시작 값(a), 등차(d), 몇 번째인지를 나타내는 정수(n)가 입력될 때
n번째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입력

시작 값(a), 등차의 값(d), 몇 번째 수 인지를 의미하는 정수(n)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모두 0 ~ 100)

출력

n번째 수를 출력한다.


입력 예시

1 3 5

 

출력 예시

13

 

풀이

 

a, d, n = map(int, input().split())

sequence = a + (d * (n - 1))

print(sequence)

 

설명

 

등차수열을 코드로 구현해봤다.

'Algorithms > Code Up 100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de Up 기초 100제 - 1091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90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88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87  (0) 2020.01.13
Code Up 기초 100제 - 1086  (0) 2020.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