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이도 : 하

문제 유형 : 스택, 그리디

추천 풀이 시간 : 30분

 

문제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정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물론 같은 정수가 두 번 나오는 일은 없다.

출력

입력된 수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한 줄에 한 개씩 출력한다. push연산은 +로, pop 연산은 -로 표현하도록 한다. 불가능한 경우 NO를 출력한다.

 

n = int(input())
count = 1
stack = []
result = []

for i in range(1, n+1):
    data = int(input())
    
    while count <= data:
        stack.append(count)
        count += 1
        result.append("+")
        
    if stack[-1] == data:
        stack.pop()
        result.append("-")
        
    else:
        print("NO")
        break

print('\n'.join(result))

python3로 해서 이렇게 제출하면 출력 초과가 나온다

 

근데 break 대신에 exit(0)로 하면 잘 제출된다

 

무슨 차이지... 아마 아슬아슬하게 걸리는데 exit(0)가 좀 더 빠른걸까..

'Algorithms > 패캠 알고리즘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5397  (0) 2020.01.29
백준 - 1966  (0) 2020.01.28
백준 - 2798  (0) 2020.01.28
백준 - 2920번  (0) 2020.01.28
그래프(1)  (0) 2020.01.26

난이도 : 하

문제 유형 : 배열, 완전 탐색

추천 풀이 시간 : 20분

 

카지노에서 제일 인기 있는 게임 블랙잭의 규칙은 상당히 쉽다. 카드의 합이 21을 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카드의 합을 최대한 크게 만드는 게임이다. 블랙잭은 카지노마다 다양한 규정이 있다.

한국 최고의 블랙잭 고수 김정인은 새로운 블랙잭 규칙을 만들어 상근, 창영이와 게임하려고 한다.

김정인 버젼의 블랙잭에서 각 카드에는 양의 정수가 쓰여 있다. 그 다음, 딜러는 N장의 카드를 모두 숫자가 보이도록 바닥에 놓는다. 그런 후에 딜러는 숫자 M을 크게 외친다.

이제 플레이어는 제한된 시간 안에 N장의 카드 중에서 3장의 카드를 골라야 한다. 블랙잭 변형 게임이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고른 카드의 합은 M을 넘지 않으면서 M과 최대한 가깝게 만들어야 한다.

N장의 카드에 써져 있는 숫자가 주어졌을 때, M을 넘지 않으면서 M에 최대한 가까운 카드 3장의 합을 구해 출력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카드의 개수 N(3 ≤ N ≤ 100)과 M(10 ≤ M ≤ 3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카드에 쓰여 있는 수가 주어지며, 이 값은 100,000을 넘지 않는다.

합이 M을 넘지 않는 카드 3장을 찾을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M을 넘지 않으면서 M에 최대한 가까운 카드 3장의 합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1

5 21

5 6 7 8 9

 

예제 출력1

21

 

card, target = map(int, input().split())
card_list = list(map(int, input().split()))

result = 0
length = len(card_list)

for i in range(0, length):
    
    for j in range(i+1, length):
        
        for k in range(j+1, length):
            
            sum = card_list[i] + card_list[j] + card_list[k]
            
            if sum <= target:
                result = max(result, sum)
                
print(result)

 

순차적으로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기 보단 나름대로 최적화된 방법으로 해보려했으나 실패했다.

 

순차적으로 하려고 해도 갑자기 생각이 안나서 생각 조금하다가 그냥 강의봤다.

 

max 함수의 사용법을 잘 알게 되었다.

'Algorithms > 패캠 알고리즘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1966  (0) 2020.01.28
백준 - 1874  (0) 2020.01.28
백준 - 2920번  (0) 2020.01.28
그래프(1)  (0) 2020.01.26
이진탐색(1)  (0) 2020.01.26

문제 난이도 : 하

문제 유형 : 배열, 구현

추천 풀이 시간 : 15분

 

 

다장조는 c d e f g a b C, 총 8개 음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문제에서 8개 음은 다음과 같이 숫자로 바꾸어 표현한다. c는 1로, d는 2로, ..., C를 8로 바꾼다.

1부터 8까지 차례대로 연주한다면 ascending, 8부터 1까지 차례대로 연주한다면 descending, 둘 다 아니라면 mixed 이다.

연주한 순서가 주어졌을 때, 이것이 ascending인지, descending인지, 아니면 mixed인지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예시

1 2 3 4 5 6 7 8

 

출력 예시

ascending

 

 

num_list = list(map(int, input().split()))
ascen = True
descen = True

for i in range(len(num_list) - 1):

    if (num_list[i] > num_list[i+1]):
        ascen = False
        
    elif (num_list[i] < num_list[i+1]):
        descen = False
         
if (ascen == True):
    print("ascending")
    
elif (descen == True):
    print("descending")
    
else:
    print("mixed")

 

문제의 설명만 듣고 나름대로 짜보았다.

 

선생님이 짠 것과 거의 유사해서 뿌듯..

 

다른 부분이 있다면

 

나는 if (ascen == True):

          print("ascending")

이렇게 했다면

선생님은

if ascen:

   print("ascending")

 

이렇게 하셨다.

 

조건문이 True면 if문을 타기 때문에 굳이 True랑 값 자체를 비교해주지 않아도 True면 조건문을 타는 원리로 해주셨다.

멋있다 배워놔야지 ㅋㅋㅋ

 

'Algorithms > 패캠 알고리즘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1874  (0) 2020.01.28
백준 - 2798  (0) 2020.01.28
그래프(1)  (0) 2020.01.26
이진탐색(1)  (0) 2020.01.26
병합정렬(2)  (0) 2020.01.26